반응형 분류 전체보기73 유니셈 주가 전망 반도체 장비 loT ESG 관련주 유니셈 주가 유니셈 주가는 18일 기준 15,000원에 장을 마감했다. 시가총액 4,600억원, 시가총액순위 코스닥 184위를 차지하고 있다. 외국인 매수율은 4.88%다. 유니셈 투자 포인트 유니셈은 반도체, 디스플레이 생산 공정에서 발생하는 유해가스 처리 장비인 '스크러버'와 온도 조절 장비 '칠러' 전문 기업으로 전사적으로 반도체 장비 매출 비중이 높다. -스크러버? 반도체 제조 공정상 발생되는 유해가스를 정화하는 장비 -칠러? 반도체공정의 온도를 낮춰 안정성을 높이는 장비 유니셈의 스크러버는 지난해 기준 국내 반도체 장비 시장에서 점유율 50%를 보이면서 국내 1위 자리를 차지했다. 칠러의 점유율은 40%다. 유니셈은 삼성전자, SK하이닉스, LG디스플레이, BOE 등 국내외 대표적인 반도체, 디.. 2021. 5. 18. LG이노텍 엘지이노텍 주가 전망 아이폰13 애플카 관련주 LG이노텍 투자 포인트 LG이노텍은 애플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아이폰 관련주로 잘 알려져 있다. 광학솔루션 부문(카메라 모듈), 기판소재 부문, 전장부품(모터, 센서, 차량통신) 등의 사업부를 운영 중이다. LG이노텍의 매출은 광학솔루션 64.4%, 기판소재 15.7%, 전장부품 14.6%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LG이노텍은 지난 1분기 깜짝 실적을 기록하면서 올해 연간 영업이익 1조원 시대를 열 수 있다는 기대를 받고 있다. 신기술이 추가된 카메라 모듈 공급으로 공급 단가가 높아지고 주요 경쟁사들의 재편으로 점유율 확대가 예상되기 때문이다. LG이노텍은 최대 고객사 애플의 스마트폰 카메라 강화기조에 힘입어 실적 개선세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LG이노텍은 아이폰의 '눈'이라 할 카메라를 공급하고.. 2021. 5. 18. 주성엔지니어링 주가 전망 SK 하이닉스 주성엔지니어링 1993년 설립한 주성엔지니어링은 반도체 장비를 전문으로 생산하는 업체로 나아가 사물인터넷, 미래 디스플레이 및 조명, 태양광 패널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 생산 및 해외 판매 등을 영위하고 있다. 지속적인 성장과 흑자에서 지난해 8년 만에 적자를 기록을 했다. 매출은 2019년 2,591억 원에서 2020년 1,185억 원으로 약 54%나 감소했다. 영업손익과 당기순손익 모두 적자로 전환했다. 매출 감소에 가장 큰 요인으로는 고객사의 신규 설비 투자 축소이다. 또한 매출액 감소에도 불구하고 2019년 대비 비슷한 수준의 연구개발비 투자로 인해 영업이익이 낮아진 것도 있다. 미래를 위한 투자는 또 다른 매출을 불러올 기대에 2021년에는 흑자전환이 예상된다. 2000년대 이후 삼성전자와 .. 2021. 5. 18. 유에스티 주가 전망 2차전지 관련주 유에스티 유에스티는 2차전지 관련주로 분류가 되면서 많은 사람들의 관심이 받게 되었다. 1990년 설립 이후로 스테인리스 강관을 전문적으로 생산을 해왔다. 관련 업종에서 시장점유율 상위 위치하며 꾸준한 매출을 만들어 가고 있다. 포스코 스테인리스 강관 공장으로 준공해 사업을 영위해 나가다 2009년 황금에스티 그룹에 편입되었다. 2010년 주식회사 유스틸로 이름을 바꾼 뒤 2017년에 주식회사 유에스티로 사명을 변경했다. 2018년 코스닥에 상장하며 50억원이 유에스티에 귀속되면서 투자의 발판을 만들었다. 이를 가지고 2차전지 분리막 연구개발비(R&D) 30억 원과 스테인리스 강관사업 신규 설비 확충자금 20억 원으로 사용되었다. 최근 몇년간 매출 500억 원대를 꾸준히 유지를 하며 큰 성장은 보이지 못.. 2021. 5. 18. 이전 1 ··· 7 8 9 10 11 12 13 ··· 19 다음 반응형